오늘은 적외선 사진 보정법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처음에는 필자도 한국어로 된 자료 찾기가 하늘의 별따기라서 꽤나 삽질을 거듭하다가 구글링을 통하여 겨우 자료를 구했는데 막상 지금은 뭐...
어차피 실제로 있지도 않은 색, 찍사 마음대로 보정하면 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_-
그렇지만 그래도 어느 정도 기본 틀은 설명을 하고 넘어가야 할 것 같아서 이렇게 글을 써본다.
일단 갖춰야 할 준비물은
1. 적외선 촬영이 가능한 장비
2. 보정 툴
3. 귀찮음을 무릅쓰고 RAW 촬영을 하는 성실함
정도 되겠다.
3번이 꽤나 중요한데 안그래도 적외선 사진은 과보정 때문에 화질이 박살날 확률이 높다.
특히 필자처럼 싸구려 똑딱이를 쓰는 경우
낮은 보정 관용도와 태생적으로 좁은 DR 및
작은 센서에서 뿜뿜하는 노이즈 등 화질에 영향을 줄 요소가 많으니 더욱 신경써야 한다.
가끔 인스타그램에서 초고화질 적외선 사진이 보이는데 보통 해시태그를 확인해보면 D800 이상급의 카메라를 개조하는 용자들의 사진이 대부분이다. 뭐 물론 그런 분들이야 내공 자체가 어마어마하겠지만, 우리 같은 사린이들은 내공도 좋은 카메라도 갖고 있지 않으니 주어진 것에서 최선을 다해야 한다-_-
RAW를 쓰라고 강조했지만 외장하드 연결 문제로 본의 아니게 구글 포토에 올라가 있는 압축본을 사용해서 진행하는데 심심한 사과의 말씀을 올린다...-_-
필자는 주로 적외선 사진을 보정할 때 Rawthrapee 라는 오픈 소스 편집 툴을 사용한다. 라이트룸 같은 유료 툴을 쓰면 왠지 보정이 더 잘 될 것 같은 느낌-_-을 받기는 하지만, 필자는 돈도 없고 간이 작아 어도비에서 잡아갈까봐 오픈 소스 내지는 프리웨어, 쉐어웨어 등 돈을 안내고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선호한다.
채널믹서가 있는 프로그램이라면 라이트룸이던 다크룸이던 상관없다. 다 할 수 있다.
순서는 보정하는 사람마다 차이가 있겠지만 필자는 일단 채널부터 뒤집고 보는 편이다.
Color 탭에 보면 정상적인 채널믹서가 보인다.
그런데 적외선 사진은 적외선 근처 대역만 통과시키고 그 이상의 주파수를 가진 대역을 죄다 잘라냈기 때문에
당연히 사진이 불그죽죽하다.
이걸 채널믹서를 통하여 조정할 것이다.
채널 믹서 앞에 있는 전원 아이콘을 켠 후
Red Channel 은 빨간 색을 0 파란 색을 100으로 바꾸고
Blue Channel은 파란 색을 0 빨간 색을 100으로 바꾸면
이렇게 하늘이 파랗게 바뀐다.
사실 이 하늘 색 맞춰주려고 채널믹서 돌리는 거다.
이 과정을 Channel swap 이라고 한다.
그리고 화밸을 잡아주는데 적외선 사진의 화밸은 일반 사진과는 느낌이 좀 다르다.
실제로 보이는 색을 잡는 게 아니라서 크게 상관은 없다고 보는데 취향껏 잡으면 된다.
많은 경우 녹색 식물을 흰색으로 잡는다-_-
이 정도 오면 이게 사진 회화인지 좀 궁금해지는 수준에 다다른다-_-
그리고 나서는 뭐... 개인 취향에 따라 쪼물딱쪼물딱 해주면
된다...
사실 이 사진은 처음에 밝혔듯이 걍 JPG도 아니고 무려 구글 포토에서 다운받은 압축 이미지로 진행했기 때문에
RAW로 진행한 것과는 채널 스왑 후의 색이 많이 다르다.
그리고 카메라에서 주광 화밸로 잡았을 때와 커스텀 화밸을 잡았을때의 색감도 많이 다를 거다.
하지만 이건 찍사의 주관이 매우 강력하게 작용하는 부분이라 알아서 자기 색깔 찾아나가면 될 거라 본다.
채널 믹서에 위화감 같은 걸 많이 느끼는 분들도 계실 텐데,
나도 맨 처음에는 무조건 채널믹서를 돌리고는 했다.
그런데 꼭 그럴 필요는 없더라는게 의견이다. 어차피 없는 색인데 아무렴 어떠랴 싶기도 하고.
그래서 보정하는 사람 마음에 따라
채널 스왑 안하고 그냥 흑백으로 날려버리기도 한다.
나 역시 모바일에서 바로 보정할 때는 꽤 많이 쓰는 방법이다.
필자의 경우에는 간단하게 인스타그램 같은 곳에 올릴때는 구글 포토를 꽤 많이 쓰는데,
구글 포토에서 그냥 필터 하나 씌우고 적당히 슬라이더만 당기기도 한다-_-
웃긴 건 이런 식으로 대충 보정한 게
내가 수동으로 열심히 깔짝깔짝 하는 것 보다 나을 때도 있다는 거다-_-
심지어 어떤 때는 그냥 노골적으로 빨간기운 안없애고 올리는게 괜찮아 보일 때도 있다...-_-
그냥 적외선 촬영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께 채널 스왑이라는 개념을 설명하고 싶어서 이렇게 길게 쓰기는 했는데
그냥 이건 많은 사람들이 노멀하게 사용하는 방법이고,
결국 찍사 마음이다.
인스타그램에 나오는 외국 고수 찍사들은 한 술 더 떠서 Photoshop의 Hue/Saturation 기능으로
나뭇잎을 막 빨갛게 했다가 파랗게 했다가 노랗게 했다가 하기도 하는데
그건 내 취향도 아니고 툴도 없는데 능력마저 안돼서 거기까지는 안해봤다.
다음 편 쓸 일이 있으려나...
'Camera & Photos > Infrared'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포대교, 서울, 적외선 사진. Banpodaegyo(Brid.), Seoul, infrared photography. (0) | 2025.01.17 |
---|---|
한강 , 적외선 사진. Hangang River, Infrared photography. (0) | 2025.01.16 |
적외선 사진 이야기 #3 (0) | 2023.09.28 |
적외선 사진 이야기 #2 (0) | 2023.09.28 |
적외선 사진 이야기 #1 (0) | 2023.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