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블로그 글을 모조리 지웠는데

다음 검색을 통해 없는 글을 찾아 들어오시는 분이 꽤 된다-_-;;

 

검색을 통해서 들어오시는 분이 거의 없다시피 한 유령블로그에 한 분의 고객님-_-이라도 찾아주신다면

잊혀진 기억을 더듬어서라도 써야지 뭐...

 

흔히 북두칠성으로 알려진 7개의 별은 사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인 별자리는 아니다. 

큰곰자리에 속하는 일부분.

 

하지만 주변에 밝은 별이 없어서 그런지 과거의 동서양 공히 별자리로 인식하기는 한 것 같다.

동양에서도 북두칠성을 독립된 별자리로 보았고

영어권에서도 Big Dipper라는 애칭으로 부르고 있다. 

 

 

20170305 R0019656~2 RICOH GXR A12 ƒ/2.5 8초 18.3mm ISO1600

 

국자 꼬리부터 알카이드, 미자르, 알리오쓰, 메그레즈, 페크다, 메라크, 두브헤.

 

상당수의 사람들이 북극성 찾는 법 또는 지극성 키워드로 오시길래 추가하자면

 

 

 

북두칠성은 카시오페이아와 함께 북극성을 찾기 위한 가장 쉬운 길잡이이다.

국자 끄트머리의 별 두 개를 이어서 연장하면 어중간하게 밝은 별이 하나 나오는데 그게 북극성이다. 주변에 밝은 별이 없어서 금방 찾을 수 있다.

그래서 북두칠성의 국자 끄트머리의 두브헤와 메라크를 극을 가리키는 별, 지극성指極星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가끔 천문대에 가면 가족단위로 온 분들을 보는데...

별에 관심 없는 분들은 대체로 북극성이 어디 있는지를 모른다. 

그런데 아이들은 궁금하고...

옆에서 구경하다 듣고 있으면 아버님들이 대체로 아이들 상태로 사기를 치신다...-_-;;

시즌 따라 다른데, 대체로 그 시즌에 보이는 가장 밝은 걸 때려 맞추신다-_-ㅋㅋㅋㅋㅋㅋ

봄철에는 주로 아크투르스 여름에는 목성...

삶에 찌들고 육아에 찌든 아버지들의 삶ㅠㅠ을 모르는 것은 아니나...

아이들에게는 좀 더 솔직하면 어떨까 싶다. 

 

요즘은 세상이 좋아져서 

 

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google.android.stardroid&hl=ko&gl=US

 

Sky Map - Google Play 앱

Sky Map is a hand-held planetarium for your Android device. Use it to identify stars, planets, nebulae and more. Originally developed as Google Sky Map, it has now been donated and open sourced. Troubleshooting/FAQ The Map doesn't move/points in the wrong

play.google.com

이런게 나와서 증강현실로 갖다 대기만 해도 이름을 알려주는 좋은 세상이니 
우리 같이 찾아볼까? 라는 말과 함께

아이들에게 솔직한 부모님이 됐으면 좋겠다-_-ㅋㅋㅋㅋㅋ

 

그 외에 북두칠성은 또한 쌍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1번 사진은 별을 조금이라도 크게 찍기 위해서 소프트 필터를 끼우고 찍은 사진이라 명확히 나오지 않았는데

 

20170403 IMGP0740 RICOH IMAGING COMPANY, LTD. PENTAX K-1 ƒ/3.5 6초 35mm ISO12800

 

필터를 사용하지 않은 사진에서는 정확히 보인다. 

국자 끝에서 2번째 별인 미자르를 보면 2개의 별이 보일 것이다. 

그래서 과거에 로마 병사들의 시력검사에 사용되었다고 한다. 

 

필자는 눈이 워낙 좋지 않아 맨눈은 커녕 안경을 써도 안 보일 지경이지만 아마 로마 병사를 데려다 놔도 서울에서는 불합격할 것 같다.

혹시나 광해光害[빛공해]가 적은 곳에 여행이라도 간다면 고대식 시력검사에 도전해보시길. 

 

그 외에 아라비아에서는 북두칠성을 관을 메고 가는 처녀들의 모습으로 봤다고 한다. 우리가 국자 머리라고 생각하는 부분을 관으로, 손잡이를 사람으로 보는 것이다. 

중국에서도 북두칠성을 불길한 별자리로 보기도 했었다.

 

가끔 사고체계가 다른 동서양에서 동일한 해석을 하는게 참 신기하다. 역시 사람 사는 세상은 다 같은건지.

 

일년 내내 보이기에 다른 별자리에 비해서 임팩트가 좀 낮은 것 같다.

하지만 서울의 빛공해는 갈 수록 심해지고 있고,

나 역시도 그 흔한 북두칠성의 7개 별을 언제 봤었는지 기억이 가물하다.

 

이미 서울의 20대 친구들은 북두칠성, 카시오페이아만 봐도 감탄사를 낼 정도이고...

먼훗날 한국에는 별이 무엇인지도 모르는 아이들이 태어나겠지.

 

------------------------------------------------------------------------

 

이하 내용은 좀 복잡한 내용이니 관심 있는 분들만. 

 

ko.wikipedia.org/wiki/%EC%8C%8D%EC%84%B1#:~:text=%EC%8C%8D%EC%84%B1%EC%9D%80%20%EA%B4%91%ED%95%99%EC%A0%81%20'%EC%9D%B4%EC%A4%91%EC%84%B1'%EA%B3%BC,%EB%B0%A9%EB%B2%95%EC%9D%84%20%EC%82%AC%EC%9A%A9%ED%95%A0%20%EC%88%98%EB%8F%84%20%EC%9E%88%EB%8B%A4.

 

쌍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뜨겁고 질량 큰 쌍성계의 진화 과정을 보여주는 동영상 쌍성(雙星) 또는 연성(連星)은 두 항성이 공통의 질량중심 주위로 공전하는 항성계이다. 항성계에서 가

ko.wikipedia.org

ko.wikipedia.org/wiki/%EC%9D%B4%EC%A4%91%EC%84%B1#:~:text=%EC%9D%B4%EC%A4%91%EC%84%B1(%E4%BA%8C%E9%87%8D%E6%98%9F)%EC%9D%80,%EB%B3%B4%EC%9D%B4%EB%8A%94%20%EA%B2%89%EB%B3%B4%EA%B8%B0%20%EC%9D%B4%EC%A4%91%EC%84%B1%EC%9D%B4%20%EC%9E%88%EB%8B%A4.

 

이중성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중성(二重星)은 육안으로 보았을 때는 하나로 보이나, 망원경을 통해서 보면 두 별이 붙어 있는 것을 말한다. 실제로 두 별이 가까이에 있는 쌍성과 실제로는

ko.wikipedia.org

쌍성과 이중성에 대하여 혹시 관심 있으신 분은 위 링크를 참조하시고...

 

www.scienceall.com/%EB%AF%B8%EC%9E%90%EB%A5%B4mizar/

 

미자르(Mizar) | 과학문화포털 사이언스올

과학의 모든 것, 사이언스올! 과학학습, 과학체험, 과학문화 콘텐츠 제공

www.scienceall.com

미자르가 쌍성인지 이중성인지 좀 애매해서 찾아봤는데, 사이언스올의 2010년 아티클에 따르면 안시쌍성이라고 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